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공원 벌레2

대벌레 피해(귀여운 캐릭터와는 반전인 실물) 대벌레 피해(귀여운 캐릭터와는 반전인 실물) 2021년도 은평구를 휩쓸었던 ‘대벌레’ 기억하시나요? 나뭇가지가 모여있는 줄 알고 계속 쳐다보면 움직이고 있는 이 벌레는 사람들을 깜짝깜짝 놀라게 했었습니다. 은평구 봉산에서 많은 등산객들을 놀라게 했던 대량의 개체수가 출몰한 이 돌발 해충에 대해서 알아볼까요? 나뭇가지와 비슷하게 생긴 이 벌레의 이름은 ‘대벌레(Ramulus mikado)’입니다. 대벌레과의 곤충은 6월~10월까지 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. 학명 : Ramulus mikado 분류 : 대벌레목 대벌레과 몸길이 : 10cm 색상 : 담갈색, 녹색 등 성충의 크기가 10cm정도 되는 대벌레과의 곤충으로 6~10월까지 생존합니다. 오랫동안 생존하는 대벌레는 죽은 척 하는 것을 잘하기로도.. 2022. 12. 4.
미국흰불나방 방제(공원에서 미국흰불나방 유충 만났을 때?!) 미국흰불나방 방제(공원에서 미국흰불나방 유충 만났을 때?!) 오늘은 미국흰불나방 유충의 위험성과 방제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5월~9월까지 공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벌레로 사람 피부에 닿았을 때 피부염을 일으킵니다. 공원 중에서도 벚나무, 버즘나무 등 활엽수가 많이 심겨진 공간에서 아주 많이 보입니다.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송충이와 비슷하게 생긴 쐐기모양 벌레로 혐오감을 일으킵니다. 유충의 몸길이는 약 3cm로 흰털과 검은 점이 많습니다. 이 유충은 약 3달정도 지나면 나방(미국흰불나방)이 됩니다. 이 나방들은 600개정도의 알을 한번에 낳는 엄청난 번식력을 가지고 있어서 조기방제를 하지않으면 개체가 급속도로 늘어납니다. 벚나무, 단풍나무, 버즘나무 등 활엽수들을 가해합니.. 2022. 10. 9.
반응형